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비밀경찰서' 의혹 중식당 대표 "사망·부상 중국인 귀국 지원"

이승재 기자 | 기사입력 2023/01/01 [11:33]

'비밀경찰서' 의혹 중식당 대표 "사망·부상 중국인 귀국 지원"

이승재 기자 | 입력 : 2023/01/01 [11:33]

▲ 29일 오후 중국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비밀 경찰서' 국내 거점으로 지목된 서울의 한 중식당에서 왕하이쥔 식당 대표가 의혹에 대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중국 '비밀경찰서'의 국내 거점으로 지목된 중식당의 대표가 자신이 한국에서 운영하는 업체, 단체 등과 관련된 의혹을 하나하나 해명했다.

서울 송파구 소재 중식당 '동방명주' 대표 왕하이쥔(王海軍·44) 씨는 31일 오후 이 식당에서 '비밀경찰서 진상규명 설명회'를 열어 동방명주는 중국 당국이 한국에 개설한 비밀경찰서가 아니라고 강하게 항변했다.

또 해당 업체 등이 정식 계약을 맺고 적법하게 운영됐으며 자신의 활동은 한중 우호 증진과 재한 중국인을 위한 인도적 목적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왕 대표는 이틀 전 첫 기자회견서 자신을 동방명주 '실질 지배인'이자 서울 화조센터(OCSC) 주임, HG문화미디어 대표, 한화(韓華) 중국 평화통일 촉진 연합총회 주임 등으로 소개했었다.

그는 우선 비밀경찰서와의 연결고리라는 의혹이 제기됐던 OCSC에 대해 "질병 등 돌발적 상황으로 (한국에서) 죽거나 다친 중국인이 귀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체"라고 주장했다. 이런 이유로 귀국을 도운 중국인은 10여명이라고 덧붙였다.

왕 대표는 "중국 유학생이 길에서 정신질환 문제가 발생했는데 서울 강서경찰서과 OCSC에 연락해 도움을 요청한 적도 있었다"며 반체제 인사 탄압과 강제 송환 등 비밀경찰 활동을 하진 않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으로 중국에 송환할 국내 거주 중국인을 선별했는지, 송환 목적지 등 송환 과정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등은 명확히 해명하진 않았다.

인도주의적 목적이라고 주장하긴 했지만 불법 체포나 감금으로도 의심할 수 있는 한국 내 중국인의 본국 송환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한 것 자체는 자인한 셈이다.

법무부와 경찰청 직원들이 참석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었던 의 '일일 영사관 행사'에 대해선 "한국의 법원과 경찰청 등과 연계해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행사"라며 "코로나19 여파로 최근 3년 동안 개최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OCSC가 실질적으로 영사 업무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영사관의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할 뿐 아무런 권한이 없다"며 "중국 교민이 한국 사회에 좀 더 빨리 적응하기 위해 돕는 일을 한다"고 말했다.

OCSC가 중국 국무원화교판공실의 지원을 받아 설립됐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중국) 국민이 해외로 나갈 때 판공실의 덕에 경영을 더 순조롭게 할 수 있다"며 "(판공실은) 금전적 지원이 아니라 여러 학습 기회 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왕 대표는 중식당 동방명주와 관련된 의혹들에 대해서도 장시간 적극 해명했다.

2017년 2월 첫 계약 후 같은 해 10월, 2020년 7월 두 차례 추가 계약으로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해당 식당이 중국 국무원이 최초로 허가한 '해외 중식 번영 기지'라는 의혹에 대해선 "맞다"고 인정했다.

그는 "해외 중식 번영 기지는 중국의 8대 외교 프로젝트의 하나로 동방명주가 첫 번째로 선정돼 지원받았다"며 "다만 자금 지원은 전혀 없었고 주로 기술 지원을 위한 해외 연수 기회를 제공받았다"고 주장했다.

2023년 1월 1일부터 영업을 중단하기로 한 것도 비밀경찰 논란 때문이 아니라 식당이 들어선 선박 안전 문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식당은 한강 위에 떠 있는 수상 구조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찰뉴스

더보기

이동
메인사진
탈북외교관 고영환 "김여정-리설주 권력투쟁…北인권 협상 여지"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